짜게 먹으면 일찍 죽는다는말, 정말 그럴까요?
우리는 살면서 한번쯤은 "짜게 먹으면 일찍 죽는데" 라는 말을 한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말은 괴담일까 진실일까.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음식에 양념을 하기 때문에,
국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권고량을 넘긴다. 하지만 이런 짜게먹는 식습관이 사망률을
높이는 것과 큰 연관이 없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Nutrition(프런티어스 인 뉴트리션)'에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고 한다.
-세브란스 이지원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권유진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이혜선 교수-
WHO(세계보건기구)의 나트륨 일일 권장 섭취량은 2000mg이고 칼륨 권장량은 3500mg이다.
통상적으로 나트륨과 칼륨은 우리 몸에 있는 수분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영양소로 꼽히지만,
나트륨의 섭취가 많아진다면 혈압 문제로 심혈관질환을 앞당길 수 있다고 한다.
연구팀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연구에 참여한 14만3천여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나트륨, 칼륨 섭취와 사망률의 관련성을 따져봤다. 평균 10.1년 추적 관찰을 해본 사이에
사망자는 5436명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 중에서 985명은 심혈관질환으로 인해 사망했다.
연구팀은 사망자를 나트륨/칼륨 섭취량을 기준 5분위로 구분해서, 두가지 영양소 섭취가
심혈관질환 사망과 사망에 끼치는 영향을 추적했는데, 결과는 나트륨 사망률과 심혈관 사망률이
상관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칼륨은 섭취량이 가장 많았던 그룹의 총사망률과 심혈관계 사망률이
칼륨 섭취량이 가장 낮았던 그룹보다 각 21%, 3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종과 지역, 국가별 식품을 통해서 나트륨을 섭취하는 형태가 달라서 실제 질병과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 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평균적으로 한국인들이 나트륨 일일 권장량이
높긴 하지만 칼륨 섭취는 권장량의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고 하는데, 칼륨을 충분하게 섭취하면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낮아진다고 했다.
나트륨은 세포 밖에서, 그리고 칼륨은 세포 안에 있으면서 세포 안팎의 수분과 삼투압을 조절하는데,
여기서 나트륨은 신경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또한 칼륨은 뇌졸중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낮춰주며, 골밀도를 높여줘서 골다공증의 위험도 낮춰준다.
칼륨은 몸속에 있는 나트륨을 밖으로 배출시키는데 도움도 주는데, 칼륨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감자,
고구마, 바나나, 오렌지, 시금치 등이 있다.
펙트만 놓고 보자면 짜게 먹으면 일찍 죽는다는 말은 사실 괴담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해서 나트륨 과다 섭취가 좋은건 아니니까 하루 권장량을 지키는걸 추천하며, 칼륨이 풍부한
음식도 두루두루 같이 섭취하는걸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