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은 정말 미세먼지 배출에 도움이 되는 음식일까?
요즘 날씨를 보면 추위는 좀 가셨지만 날이 따듯해진 만큼 미세먼지가 극성을 부리는 중이다.
이런 미세먼지는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나 화석연료 연소시에 발생하는 매연, 공장 매연, 건설 현장의
먼지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매년 봄마다 주로 미세먼지가 심했었지만, 최근에는 계절과 관계없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추위가 물러나면서 찾아온 미세먼지로 목이 칼칼하고, 기침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미세먼지 속에는 중금속 성분이 있어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데요.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미세먼지 같은 먼지 배출에 좋은 음식으로 삼겹살을 말하곤 한다.
삼겹살은 미세먼지 배출에 도움되지 않고, 오히려 과다 섭취시 유해하다?
이런 삼겹살은 미세먼지 배출에 거의 효과가 없다고 한다.
삼겹살은 지방이 많기 때문에 호흡기에 껴있는 미세먼지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맞는 말이 아니다. 미세먼지가 호흡기로 들어오면 기도를 지나 폐로 가지만, 음식물은 식도를
통해서 소화기관으로 간다. 즉, 미세먼지와 음식물은 이동하는 통로 자체가 달라서 지방이 미세먼지를
청소한다는 말은 성립되지가 않는다.
또한 돼지고기에 불포화지방산이 미세먼지와 결합해서 소변으로 배출시킨다는 의견이 있기도 한데,
돼지고기가 소고기에 비해서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것은 맞지만, 돼지고기는 동물성 식품이라서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다. 그리고 이런 지방은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는 영양소다.
그리고 돼지고기에 들어있는 함황아미노산이라는 성분이 미세먼지 중금속 흡수를 막아주고 소변으로
배출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 때문에 함황아미노산이 함유된 돼지고기를 먹으면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돼지고기에는 함황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지 않고, 오히려 해조류나 계란, 콩 등에 더 많다.
삼겹살 같은 지방함량이 높은 음식을 많이 먹으면 지용성 중금속의 흡수율이 높아져서 건강을 더 해질 수 있다.
그렇다면 미세먼지 배출에 도움을 주는 음식은 어떤 것일까?
가장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방법은 물을 많이 마셔주는거다.
호흡기나 기관지 점막이 건조해지면 미세먼지가 잘 침투하기 때문에 수분을 자주 섭취해서 촉촉하게 해줘야 한다.
또 김이나 미역, 다시마 같은 해조류에는 "알긴산" 성분이 풍부한데, 이 알긴산은 끈적해서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해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마늘, 도라지, 배, 녹차 등도 미세먼지 배출에 좋다고 한다.
결국 삼겹살은 해조류 등에 비해서 효과도 덜하고 오히려 구을때 미세먼지를 더 흡힙하기 때문에
삽겹살이 미세먼지에 좋다는 속설은 잘못된 말이다. 요즘 같이 미세먼지가 극성일때는 자주 물을 마셔주고,
해조류를 많이 먹어주는게 오히려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