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에게 카페인 음료는 독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커피 같은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마시면 단기적인
혈압 상승을 유도할 순 있지만 고혈압을 유발한다는 근거는 부족하다.
전 세계적으로 봤을때, 사망 기여도 1위 질환은 고혈압이다.
고혈압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기준으로 봤을때 세계 사망 원인의
20%를 차지할 만큼 높다.
그렇다면 고혈압이 사망에 크게 기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혈압이 증가하면 혈액을 전달하는 혈관이 손상되는데
이때 염증 반응이 일어난다. 이것 때문에 혈액이 순환되는 뇌나 심장,
콩팥 등 주요 장기들에도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버리거나
터져버릴 수도 있다. 이런 혈관질환으로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등 치명적인
혈관질환을 일으켜서 결과적으로 사망 위험까지 높아진다.
이런 고혈압이 발생할때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
박상현 교수(대전을지대병원 심장내과)는 "고혈압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지만,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깼을때 뒷골이 당기는 듯한 두통 증상이 있다면 고혈압을 의심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고혈압이 발생하면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
중간에 약을 중단하면 다시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한다면, 약을 줄이거나 끊어볼 수 있겠다. 단, 이렇게 약 복용을
끊었다면 언제든 다시 혈압이 상승할 수 있으니, 꾸준하게 체크해줘야 한다.
고혈압 약을 복용하면 일시적으로 콩팥의 기능이 떨어질 순 있지만 대부분 다시
회복된다. 하지만 약을 복용하지 않고 오히려 고혈압을 오래 방치하면 오히려 콩팥이
손상되면서 만성콩팥병이 발생할 수 있다. 콩팥 기능이 망가져서 투석 받는 환자들을 보면
당뇨와 고혈압이 주요 원인이다.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운동을 통한 체중감량과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가 중요하다.
식습관으로는 육류보다 생선이나 과일, 그리고 채소 중심으로 식단을 짜야한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커피를 마시면 일시적으로 혈압 상승이 일어날 순 있지만,
장기적으로 혈압을 높인다던가 고혈압을 일으킨다는 근거는 부족하다. 박상현 교수는
오히려 커피를 적정량 섭취하게되면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면서
미국에서 발표한 식생활 권고 안에서도 일일 3~5잔의 커피는 오히려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며, 고혈압 환자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라고 말했다.
단, 크림이나 설탕, 시럽 등이 들어가지 않은 커피가 좋다. 그리고 커피를 마시면 두근거림
증상이 있고, 잠을 자기가 어려워지는 사람은 일반 커피 말고 디카페인 커피를 권장한다.
결국 고혈압과 카페인은 큰 연관이 없으니 혈압이 높은 사람도 안심하고 커피를 마시면 된다.
단, 뭐든 과한건 좋지 않으니 일일 권장섭취량을 넘지 않도록 조절해가며 마시자.